
모집단과 표본통계 조사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 전체를 모집단이라 하며, 모집단 전체를 조사하는 것을 전수조사라고 합니다.모집단에서 뽑은 일부를 표본이라 하고, 표본을 뽑아 조사하는 것을 표본조사라고 합니다. 또한, 표본조사에서 뽑은 표본의 개수를 표본의 크기라고 합니다.모집단에 속하는 각 대상이 같은 확률로 추출되도록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을 임의추출이라 합니다. 한 개의 자료를 뽑은 후 다시 넣고 반복하여 뽑는 것을 복원추출이라 하며, 넣지 않고 뽑는 것을 비복원추출이라 합니다.모평균과 표본평균모집단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확률변수를

연속확률변수와 확률밀도함수어떤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수의 값을 가질 수 있는 확률변수를 연속확률변수라고 합니다.

이산확률변수와 확률질량함수확률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들이 유한개이거나 자연수와 같이 셀 수 있을 때, 이 확률변수를 이산확률변수라고 합니다.이산확률변수 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값 에 각각 대응하는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를 이산확률변수

조건부 확률확률이

시행과 사건같은 조건에서 반복할 수 있고, 그 결과가 우연에 의하여 결정되는 실험이나 관찰을 시행이라고 합니다.어떤 시행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결과의 집합을 표본공간이라고 합니다.표본공간의 부분집합을 사건이라고 합니다.한 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사건을 근원사건이라고 합니다.어떤 시행에서 반드시 일어나는 사건을 전사건이라고 합니다.어떤 시행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는 사건을 공사건이라고 합니다.일반적으로 사건과 그 사건을 나타내는 집합은 구별하지 않습니다. 표본공간은 공집합이 아닙니다. 합사건, 곱사건, 배반사건, 여사건합사건 (

면접 방법 및 평가 요소 요약면접 방법면접위원: 2인 대 지원자 1인 개별 블라인드 면접.면접 시간: 지원자 1인당 10분 내외.내용: 학교생활기록부를 기반으로 한 확인 면접 (교과형 문제 없음).평가 척도: 7등급(A+, A, B+, B, C+, C, D).평가 요소 및 평가항목학업역량정의: 대학 교육을 충실히 이수하는 데 필요한 수학 능력.평가항목: 학업성취도, 학업태도, 탐구력.진로역량정의: 자신의 진로와 전공(계열)에 관한 탐색 노력과 준비 정도.평가항목: 전공(계열) 관련 교과 이수 노력, 전공(계열)과 관련된 성취도, 진로탐색 활동과 경험.공동체역량정의: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갖춰야 할 바람직한 사고와 행동.평가항목: 협업과 소통능력, 나눔과 배려, 성실성과 규칙준수.학업역량 관련 질문학업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