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달이 뜨는 날, 그대 날 보러와요
Math2022. 5. 1. 01:22보름달이 뜨는 날, 그대 날 보러와요

달은 일정한 주기로 차고 이지러지기에 밤에 하늘만 보면 직관적으로 날짜를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옛날엔 주로 음력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해로 부터 생기는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기에 어렵습니다. 달은 약 29.5일을 기준으로 차고 이지러지며 이렇게 12번을 반복하면 354일 밖에 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를 기준으로하는 1년인 365.25일과 약 11일의 차이가 생기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옛 선조들은 19년에 7번 윤달을 넣어 한 해의 길이를 맞추고 해의 변화를 기준으로 24절기를 추가하여 계절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았습니다. 직관적인 날짜 계산과 계절의 변화를 모두 관찰할 수 있는 달력을 만들어 낸거죠.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은 달과 태양의 움직임을 모두 고려하여 만든 역법으로 날짜의 계산은 달..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