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을 위한 그래프 특강 - 5 | 합성함수 그래프 그리기 (합성 함수의 그래프를 쉽게 그리는 방법, N축 쓰지 않음)
Math2022. 6. 22. 14:11고3을 위한 그래프 특강 - 5 | 합성함수 그래프 그리기 (합성 함수의 그래프를 쉽게 그리는 방법, N축 쓰지 않음)

드디어 그래프의 그리기의 마지막 단계 합성함수입니다. 고1 학생들이 가장 그리기 힘들어하는 그래프이기도 한데요. 합성함수의 개념을 간단히 다룬 후 예시를 통해 합성함수를 그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합성함수의 개념 합성함수란 $f:X→Y$와 $g:Y→Z$라는 두 함수에 대하여 한 함수의 공역이 다른 함수의 정의역과 일치하는 경우, 두 함수를 이어 하나의 함수로 만드는 연산입니다. 쉽게 생각해 일반적인 함수는 $x$값에 따라 $y$값, 즉 함숫값이 바로 생기는데 반해 합성함수는 이 과정을 연달아하게 되면서 새로운 함수 $g \circ f : X → Z$를 만들게 됩니다. (단, $f$의 치역이 $g$의 정의역의 부분집합이어야만 합성함수 $g \circ f$을 정의할 수 있다.) 합성함수..

Math2020. 9. 17. 20:10로또 당첨금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방법 (feat. 베르트랑의 역설)

복권이 당첨되는 것은 우리 모두의 희망이다. 복권만 당첨되면 아침마다 일어나서 출근할 필요도 없고 세계 여기저기를 평생 여행다녀도 되고 건물주가 될 수도 있다. 나도 매주 복권을 사는데 수학전공자로서 복권을 수학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과 숨어있는 수학적 사실에 대해 내가 아는 사실을 모두 공유해주겠다 복권을 정말 제대로 할 생각이 있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먼저 여러분들이 인문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면 로또의 당첨될 확률쯤은 쉽게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로또는 45개의 숫자 중에서 6자릴 맞춰야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45개 중 6개를 선택한다. 45combination6을 하면 814만 5천 60 약 800만분의 1이다. 이렇게 말하면 뭐 번개를 몇번 맞았냐느니 이러는데..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