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 2025학년도 수시 모집 학생부 종합(미래인재전형Ⅱ) 면접자료
Memo2024. 11. 19. 08:28강원대 2025학년도 수시 모집 학생부 종합(미래인재전형Ⅱ) 면접자료

면접 방법 및 평가 요소 요약면접 방법면접위원: 2인 대 지원자 1인 개별 블라인드 면접.면접 시간: 지원자 1인당 10분 내외.내용: 학교생활기록부를 기반으로 한 확인 면접 (교과형 문제 없음).평가 척도: 7등급(A+, A, B+, B, C+, C, D).평가 요소 및 평가항목학업역량정의: 대학 교육을 충실히 이수하는 데 필요한 수학 능력.평가항목: 학업성취도, 학업태도, 탐구력.진로역량정의: 자신의 진로와 전공(계열)에 관한 탐색 노력과 준비 정도.평가항목: 전공(계열) 관련 교과 이수 노력, 전공(계열)과 관련된 성취도, 진로탐색 활동과 경험.공동체역량정의: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갖춰야 할 바람직한 사고와 행동.평가항목: 협업과 소통능력, 나눔과 배려, 성실성과 규칙준수.학업역량 관련 질문학업 과정..

Math2020. 9. 17. 20:04전공자만 배우는 수학 문제를 푸는 5가지 방법

수학문제를 풀 때 시작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할 때가 있다. 어떻게 문제를 풀기 시작하면 좋을까? 여러분들이 알게 모르게 수학문제를 풀면서 쓰고 있었던 스킬들이지만 수학을 가르치면서 보면 실제로 이를 체계적으로 적용하지 않는 친구들이 많아서 몇가지 스킬들을 정리해보겠다. 혹시나 처음보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니 이번 영상은 끝까지 시청하길 권장한다. 첫번째는 예상과 확인이다. 수학을 항상 짜여진 방법대로 풀어야한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수학이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공리와 정의가 있어 착착착착 만들어지진 않았다. 지금까지도 여러 수학자들이 한 추측들이 있고 그 추측을 몇 십년 길게는 몇 천년이 걸려 증명과 반증을 하며 수학은 발전해왔다. 예상과 확인은 문제의 답을 미리 예상해보고 그 답이 문제의 조건..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