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2022. 1. 8. 01:23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인수분해 스킬 | 증명
우리가 학교 수학에서 배우는 방정식들은 대개 정수를 계수로 갖는 다항식들입니다. 그리고 이런류의 방정식의 근을찾는 문제가 나온다면 일반적으로 인수분해를 통해 근을 찾게 되죠. 이 채널을 보시는 분들은 너무나 많은 인수분해 문제를 풀어보셨을거라 익숙하게 x자 권법을 써서 암산으로 인수분해한 후 근을 찾으셨을 것입니다. 반면에 근이 잘 보이지 않는 방정식이 나온다면 어떻게 할까요? 귀찮겠지만 중학교 때주구장창 외웠던 근의 공식을 사용해서 끝끝내 근을 찾으실 것입니다. 삼차이상의 방정식는 어떻게 할까요? 삼차, 사차까지는 일반적인 근의 공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과정에서는 배우지 않고, 배워서 써먹는다 해도 너무 어렵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근이 될 것 같은 수들 가져와서 이용해 조립제법을 사용합니..